최근 한국 사회에서 철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대형 서점의 철학 도서 매출이 증가하고, 유튜브나 팟캐스트에서 철학 관련 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각종 철학 강연이나 독서 모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철학 열풍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맥락이 자리잡고 있다.
## 철학 열풍의 주요 원인
### 1. 불확실성의 시대와 존재론적 질문의 부상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많은 이들이 삶과 죽음, 인간의 본질과 같은 근본적인 질문들을 마주하게 되었다. 기후 위기, 경제적 불안정성, AI의 발전 등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더욱 깊이 있는 성찰과 통찰을 갈구하게 되었다.
### 2.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관 재정립 요구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많은 현대인들이 자신의 삶의 의미와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워라밸', '소확행' 등의 새로운 가치관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성공 공식이나 사회적 통념을 넘어선 개인만의 철학과 가치관 정립이 중요해졌다.
### 3.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판단의 필요성
세대 갈등, 젠더 갈등, 환경 문제 등 복잡한 사회적 이슈들이 대두되면서, 이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철학적 사고와 윤리적 판단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철학 입문을 위한 추천도서
### 1. 『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 강용수 (2023)
쇼펜하우어 철학은 프리드리히 니체, 아인슈타인, 카를 융, 바그너, 헤르만 헤세, 프란츠 카프카, 톨스토이 등 각계 명사들에게 영향과 영감을 주었다. 그런 그도 40대까지는 학계를 떠나 은둔 생활을 했다. 하지만 쇼펜하우어는 언제든 자신이 인정받을 것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흔들리지 않았다. 쇼펜하우어는 40대 중반부터 서서히 실력이 알려지며 세계적인 명성을 떨쳤다. 그에게 40대는 위기를 넘은 때이자 인생이 바뀐 분기점이다.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는 인생의 의미를 끊임없이 고민한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남긴 철학적 사유 중에서 현시대 40대가 회의감과 상실감 등 마음의 위기를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 30가지를 담았다. 세계 거장들의 철학자이자 ‘생활 철학자’인 쇼펜하우어로부터 괴로움을 해소하는 법, 자기 인생에 집중하는 법, 자긍심을 갖는 법, 시간의 의미를 깨닫고 현명하게 사는 법, 그리하여 행복하게 사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인생의 분기점에 서 있는 마흔에게 삶의 지혜를 줄 것이다.
### 2. 『신독: 신독, 혼자 있는 시간의 힘 (당신은 혼자 있는 시간을 무엇으로 채우는가?)』- 조윤제 (2024)
‘다산의 마지막’ 시리즈, 《말 공부》 등으로 70만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고전연구가 조윤제가 ‘신독’이라는 키워드로 돌아왔다. 신독은 ‘홀로 있을 때 도리에 어긋나지 않게 더욱 삼가다’라는 뜻으로, 개인 수양의 최고 단계로 꼽힌다. 혼자 있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며 그 시간을 무엇으로 채우는지가 한 사람을 완성하는 핵심이라는 것. 저자는 《논어》, 《도덕경》, 《맹자》, 《대학》 등 20여 개의 동양고전 속에서 명문장 70개를 엄선해, 흥미로운 고사와 현대적인 사례들과 함께 풀어낸다. 이 책을 통해 나를 지키고, 돌아보며, 배우고 성장하고, 멈추어 기회를 얻고, 사람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책의 말미에는 책 속 부록으로 ‘신독 필사노트’를 수록했다. 늦은 밤이나 이른 새벽 하루 30분,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선물해보기 바란다.
### 3. 『 사소한 불행에 인생을 내어주지 마라 』- 요한 크라우네스 (2024)
예측 불가능하고 불안한 삶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힘을 기르는 52개의 스토아 철학 이야기를 소개한다. 아우렐리우스, 세네카, 에픽테토스 등 수천 년을 관통하는 스토아 철학자들의 지혜를, 1년간 매주 한 편씩 읽을 수 있는 간결한 일화와 해설로 전하고 있다. 평정심, 자기 절제, 주어진 상황을 받아들이는 태도, 현재에 머무르기 등 스토아적 통찰이 깃든 단편, 우리 일상에 적용할 수 있는 해설과 함께 주별 핵심 아포리즘을 필사하는 페이지도 더하여 독자의 삶에 새기는 시간을 제공한다. 52주간 각 이야기가 자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 고민하다 보면 더욱 단단한 1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 맺음말
철학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단순한 지적 호기심을 넘어, 현대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추천된 도서들은 각각 동양과 서양, 현대와 고전을 아우르며, 철학적 사고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 깊은 자아성찰과 함께, 현대 사회의 도전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