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이날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매우 중요하게 여긴 명절 중 하나로, 다양한 세시음식(1년 중 때때마다 만들어 먹는 명절음식(名節飮食)과 시절음식(時節飮食)을 통틀어 일컬음)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날이다.
오곡밥은 정월대보름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찹쌀, 차조, 수수, 팥, 콩 등 다섯 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어 지은 밥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곡밥을 지을 때는 각각의 곡물이 고루 익도록 불리는 시간을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약밥도 빼놓을 수 없는 정월대보름 음식이다. 찹쌀에 대추, 밤, 잣, 황율 등의 견과류를 넣고 계피, 생강으로 맛을 내어 만든다. 약밥은 달콤하면서도 건강에 좋은 재료들이 듬뿍 들어가 있어 보양식으로도 훌륭하다.

부럼도 정월대보름의 특별한 풍습 중 하나이다. 날이 밝기 전에 호두, 땅콩, 잣, 은행 등의 견과류를 깨물어 먹으면서 한 해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기를 기원한다. 특히 부럼은 이를 튼튼하게 하고 머리를 좋게 한다는 속설이 있다.

묵은 나물도 정월대보름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다. 가을에 말려둔 고사리, 취나물, 시래기, 무시래기 등을 불려서 먹는데, 묵은 나물을 아홉 가지 이상 먹으면 그해 운이 좋다고 한다. 각각의 나물은 고유한 맛과 영양이 있어 건강에도 매우 이롭다.

귀밝이술은 이날 아침 마시는 청주를 말한다. 귀밝이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많이 듣는다는 의미가 있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들은 차를 마시기도 한다.

더위를 팔아먹는 풍습도 있다. 이날 아침 일찍 다른 사람보다 먼저 그 사람의 이름을 부르면서 "더위 사가라"고 외치면 그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여름철 건강을 기원하는 재미있는 풍습이다.
ogokbap (five-grain rice)은 정월대보름 음식의 영어 표현이다.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전통 음식을 소개할 때 이러한 영어 표현을 알아두면 유용하다. 최근에는 외국인들 사이에서도 한국의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에는 바쁜 일상으로 인해 정월대보름 음식을 직접 준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하지만 마트나 전통시장에서 준비된 음식을 구입하거나, 가족들과 함께 간단하게라도 정월대보름 음식을 나누며 그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 좋다.
정월대보름 음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닌,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건강에 대한 염원이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전통을 지키고 이어나가는 것은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책임이자 의무이다.